V12 자연흡기 엔진의 시대가 저물어간다고 아쉬워하고 계신가요? 페라리가 그 마침표를 아직 찍을 생각이 없는 것 같습니다. 812 슈퍼패스트의 계보를 잇는 새로운 플래그십, ‘페라리 도디치 칠린드리’가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이름부터 ’12기통’을 뜻하는 이 차, 과연 전작과 비교해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단순한 후속 모델을 넘어 페라리의 헤리티지와 혁신을 모두 담아낸 도디치 칠린드리의 핵심적인 변화 포인트를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페라리 도디치 칠린드리 핵심 변화 3줄 요약
- 한계에 도전하는 심장: 812 슈퍼패스트를 뛰어넘어 830마력, 9500rpm까지 회전하는 순수 V12 자연흡기 엔진.
- 과거와 미래의 조화: 365 GTB4 데이토나에서 영감을 받은 레트로 디자인과 최첨단 액티브 에어로다이내믹의 결합.
- 운전자와의 완벽한 교감: 짧아진 휠베이스와 최신 사이드 슬립 컨트롤 8.0(SSC 8.0)으로 완성된 민첩하고 정교한 핸들링.
심장을 울리는 V12 엔진의 진화
페라리 도디치 칠린드리의 가장 큰 변화는 바로 심장, V12 엔진 그 자체에 있습니다. 812 슈퍼패스트 역시 800마력이라는 강력한 성능을 자랑했지만, 도디치 칠린드리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갔습니다. 최고출력은 830마력으로 상승했으며, 엔진 회전수는 무려 9,500rpm까지 치솟습니다. 이는 F1 기술에서 파생된 ‘슬라이딩 핑거 팔로워’와 같은 혁신적인 부품과 티타늄 커넥팅 로드 채용을 통해 이뤄낸 성과입니다. 티타늄 커넥팅 로드는 기존 강철 대비 회전 질량을 40%나 줄여 엔진의 반응성을 극대화했습니다. 전동화 시대에 순수한 자연흡기 엔진으로 이러한 성능을 구현했다는 점은 페라리의 기술력과 헤리티지에 대한 자부심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아름다운 엔진 사운드, 즉 배기음은 페라리 DNA의 핵심이며, 도디치 칠린드리는 그 감성을 최고조로 끌어올렸습니다.
812 슈퍼패스트 vs 도디치 칠린드리 엔진 스펙 비교
구분 | 페라리 812 슈퍼패스트 | 페라리 도디치 칠린드리 |
---|---|---|
엔진 형식 | 6.5L V12 자연흡기 | 6.5L V12 자연흡기 |
최고 출력 | 800마력 @ 8,500rpm | 830마력 @ 9,250rpm |
최대 토크 | 73.2kg.m @ 7,000rpm | 69.1kg.m @ 7,250rpm |
최고 회전수 | 8,900rpm | 9,500rpm |
과거의 유산을 재해석한 디자인과 공기역학
페라리 도디치 칠린드리의 디자인은 페라리 스타일링 센터의 수장, 플라비오 만조니의 지휘 아래 탄생했습니다. 그는 1960년대 전설적인 그랜드 투어러(GT), 365 GTB4 ‘데이토나’에서 디자인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헤드라이트와 주간 주행등을 감싸는 검은색 패널은 데이토나의 팝업 헤드램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부분입니다. 후면부 역시 단순하면서도 볼륨감 넘치는 디자인을 보여주며, 이는 단순히 아름다움을 넘어 정교한 공기역학(에어로다이내믹) 성능을 위한 것입니다.
812 슈퍼패스트가 차체 곳곳에 공기역학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드러냈다면, 도디치 칠린드리는 ‘액티브 에어로’ 시스템을 통해 외관의 간결함을 유지했습니다. 고속 주행 시 리어 스크린 양쪽에 위치한 두 개의 플랩이 자동으로 움직여 다운포스를 생성하고 안정성을 높입니다. 이는 디자인과 기능을 완벽하게 조화시킨 페라리의 기술력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더욱 정교해진 섀시와 주행 제어 시스템
강력해진 성능을 뒷받침하기 위해 섀시 또한 새롭게 설계되었습니다. 도디치 칠린드리의 휠베이스는 812 슈퍼패스트보다 20mm 짧아진 2,700mm입니다. 짧아진 휠베이스는 코너링 시 더욱 민첩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여기에 15% 향상된 비틀림 강성은 차체의 안정성을 높여 운전자에게 더 큰 신뢰감을 줍니다. 또한, 페라리의 독자적인 주행 제어 시스템인 ‘사이드 슬립 컨트롤(SSC)’이 최신 8.0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으며, 4륜 조향 시스템과 결합하여 그 어떤 상황에서도 짜릿한 드라이빙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브레이크 시스템 역시 업그레이드되어 강력한 제동 성능을 보장합니다.
운전자 중심의 혁신적인 인테리어
실내 공간은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했습니다. 812 슈퍼패스트가 운전자 중심의 콕핏 디자인을 가졌다면, 도디치 칠린드리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대칭을 이루는 ‘듀얼 콕핏’ 콘셉트를 적용했습니다. 중앙의 10.25인치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운전석에는 15.6인치 디지털 계기판, 조수석에는 8.8인치 디스플레이가 각각 배치되어 동승자 역시 주행 정보를 공유하며 드라이빙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페라리의 상징인 ‘마네티노’가 포함된 스티어링 휠은 더욱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전동화 시대, 마지막 V12의 상징성
페라리 도디치 칠린드리는 단순한 고성능 슈퍼카를 넘어, 내연기관 시대의 정점을 상징하는 모델입니다. 경쟁 모델인 람보르기니나 애스턴마틴 역시 V12 엔진을 유지하고 있지만, 점차 하이브리드 기술과 결합하는 추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형태의 전동화 장치도 없이 순수한 12기통 자연흡기 엔진을 고수했다는 것은 이 차의 소장 가치를 더욱 높여줍니다. 페라리 푸로산게, SF90 스트라달레, 296 GTB 등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는 페라리의 행보 속에서, 도디치 칠린드리는 어쩌면 우리가 만날 수 있는 ‘마지막 V12’ 자연흡기 프론트 미드십 GT일지도 모릅니다. 이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자동차 역사에 기록될 하나의 예술 작품이자 클래식카로서의 가치를 지닙니다.
